wa_ter_ve
정보처리기사 기출 - 3. 데이터베이스 구축 본문
2024년 1회
41. 참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DROP문에서 부모 테이블의 항목 값을 삭제할 경우 자동적으로 자식 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기 위한 옵션은?
① CLUSTER
② CASCADE
③ SET-NULL
④ RESTRICTED
42. 뷰(View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뷰는 CREATE 문을 사용하여 정의한다.
② 뷰는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한다.
③ 뷰를 제거할 때에는 DROP 문을 사용한다.④ 뷰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한다.
43. DML에 해당하는 SQL 명령으로만 나열된 것은?
① DELETE, UPDATE, CREATE, ALTER
② INSERT, DELETE, UPDATE, DROP
③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
④ SELECT, INSERT, DELETE, ALTER
44. 관계대수의 순수 관계 연산자가 아닌 것은?
① Select② Cartesian Product
③ Division
④ Project
45. 관계 데이터 모델의 무결성 제약 중 기본키 값의 속성 값이 널(Null) 값이 아닌 원자 값을 갖는 성질은?
① 개체 무결성
② 참조 무결성
③ 도메인 무결성
④ 튜플의 유일성
46. 제 3정규형에서 보이스코드 정규형(BCNF)으로 정규화하기 위한 작업은?
① 원자 값이 아닌 도메인을 분해
② 부분 함수 종속 제거
③ 이행 함수 종속 제거
④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 종속 제거
47. 로킹(Locking)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로킹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.②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.
③ 데이터베이스도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.
④ 로킹 단위가 커지면 로크 수가 작아 로킹 오버헤드가 감소한다.
48. 다음 SQL문에서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UPDATE 회원 ( ) 전화번호='010-14'
WHERE 회원번호='N4';
① FROM
② SET
③ INTO
④ TO
49.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키마(Schema)는?
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정의한 것으로 데이터개체, 관계, 제약조건, 접근권한, 무결성 규칙 등을 명세한 것
① 개념 스키마
② 내부 스키마
③ 외부 스키마
④ 내용 스키마
50.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시스템 카탈로그의 갱신은 무결성 유지를 위하여 SQL을 이용 하여 사용자가 직접 갱신하여야 한다.②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 객체에 대한 정의나 명세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한다.
③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별한 테이블의 집합체이다.
④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를 메타 데이터라고도 한다.
51. 다음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와 차수가 옳게 나타낸 것은?
① 카디널리티 : 4, 차수 : 4
② 카디널리티 : 4, 차수 : 6
③ 카디널리티 : 6, 수 : 4
④ 카디널리티 : 6, 차수 : 6
52. 병행제어 기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?
① 로킹 기법② 시분할 기법
③ 타임 스탬프 기법
④ 다중 버전 기법
53. 데이터 속성 간의 종속성에 대한 엄밀한 고려없이 잘못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 처리 연산 수행 시 각종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, 이러한 이상 현상이 아닌 것은?① 검색 이상
② 삽입 이상
③ 삭제 이상
④ 갱신 이상
54. 트랜잭션의 주요 특성 중 하나로,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트랜잭션 실행 중에 다른 트랜잭션 의 연산이 끼어들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?
① Log
② Consistency
③ Isolation
④ Durability
55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키(Key)는?
한 릴레이션 내의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로서, 릴 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한 유일성은 만족시키 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한다.
① 후보키
② 대체키
③ 슈퍼키
④ 외래키
56.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물리적 설계의 목적은 효율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.
② 트랜잭션 처리량과 응답시간, 디스크 용량 등을 고려해야 한다.
③ 저장 레코드의 형식, 순서, 접근 경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설계한다.④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며, 데이터 타입 및 데이터 타입들 간의 관계로 표현한다.
57. 관계해석에서 '모든 것에 대하여'의 의미를 나타내는 논리 기호는?
① ∃
② ∈
③ ∀
④ ∪
58. 다음 [조건]에 부합하는 SQL문을 작성하고자 할 때, [SQL문]의 반간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(단, ‘팀코드’ 및 ‘이름’은 속성이며, ’직원‘은 테이블이다.)
[조건]
이름이 '정도일'인 팀원이 소속된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팀에 소속된 팀원들의 이름을 출력하는 SQL 작성
[SQL문]
SELECT 이름
FROM 직원
WHERE 팀코드=( ) ;
① WHERE 이름='정도일'
② SELECT 코드 FROM 이름 WHERE 직원='정도일'
③ WHERE 직원='정도일'
④ SELECT 팀코드 FROM 직원 WHBRE 이름='정도일'
59. 데이터베이스에 영향을 주는 생성, 읽기, 갱신, 삭제 연산으로 프로세스와 테이블 간에 매트릭스를 만들어서 트랜잭션을 분석하는 것은?
① CASE 분석
② 일치 분석
③ CRUD 분석
④ 연관성 분석
60. 데이터베이스에는 관계형, 계층형, 네트워크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은?
① 개체(Object)
② 관계(Relationship)
③ 속성(Attribute)
④ 제약 조건(Constraint)
2024년 2회
41.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?
① 속성(Attribute)
② 연산(Operation)
③ 관계(Relationship)
④ 개체(Entity)
42. 시스템 카탈로그(System Catalog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사용자, 객체에 대한 정의나 명세에 관한 정보를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테이블이다.② 일반 이용자도 SQL을 이용하여 내용을 검색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.
③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한다.
④ 데이터 디렉터리, 번역기, 질의 최적화기 등으로 구성된다.
43. 관계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원하는 릴레이션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비절차적 언어이다.
②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피연산자와 결과가 모 두 릴레이션이다.
③ 일반 집합 연산과 순수 관계 연산으로 구분된다.
④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 한다.
44. DML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?
ㄱ. SELECT
ㄴ. UPDATE
ㄷ. INSERT
ㄹ. GRANT
① ㄱ, ㄴ, ㄷ
② ㄱ, ㄴ, ㄹ
③ ㄱ, ㄷ, ㄹ
④ ㄱ, ㄴ, ㄷ, ㄹ
45. 개체-관계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① 오너-멤버(Owner-Member) 관계라고도 한다.
②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을 기본 요소로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한다.
③ E-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 타입은 사각형으로 나타낸다.
④ B-R 다이어그램에서 속성은 타원으로 나타낸다.
46. 릴레이션에 R1에 속한 애튜리뷰트의 조합인 외래키를 변경하려면 이를 참조하고 있는 R2의 릴레이션의 기본키도 변경해야 하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?
① 정보 무결성
② 고유 무결성
③ 키 제약성
④ 참조 무결성
47. 아래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(degree)를 구하면?
① 2
② 3
③ 4
④ 5
48. 정규화 과정 중 1NF에서 2NF가 되기 위한 조건은?
① 1NF를 만족하고 모든 도메인이 원자 값이어야 한다.
② 1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애트리뷰트들이 기본 키에 이행석으로 함수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.
③ 1NF를 만족하고 다치 종속이 제거되어야 한다.
④ I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적 종속되어야 한다.
49. 병행제어 기법 중 로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로킹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.
② 데이터베이스, 파일,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.
③ 로킹의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.④ 로킹의 단위가 커지면 데이터베이스 공유도가 증가한다.
50. 다음 중 파티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① 파티셔닝으로 인해 쿼리 성능은 향상되지만, 백업 및 복구 속도는 느려진다.
② 파티셔닝된 테이블은 물리적으로 별도의 세그먼트에 저장된다.
③ 파티션은 하나의 테이블을 작은 논리적 단위로 나눈 것이다.
④ 파티셔닝을 수행하면 데이터 가용성이 향상된다.
51. 다음 SQL 문에서 괄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UPDATE MEMBER ( ) GRADE = 'GOLD'
WHERE POINT >= 1000;
① SET
② FROM
③ INTO
④ IN
52. 분산 데이터베이스 목표 중 데이터베이스의 분산된 물리적 환경에 서 특정 지역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해도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된다."는 것과 관계있는 것은?
① 장애 투명성
② 병행 투명성
③ 위치 투명성
④ 중복 투명성
53.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와 그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?
① 요구 조건 분석 - 트랜잭션 모델링
② 물리적 설계 단계 -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 설계
③ 논리적 설계 단계 - 목표 DBMS에 종속적인 논리 스키마 설계
④ 구현 단계 - 목표 DBMS DDL로 스키마 작성
54. 다음 질의어를 SQL 문장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?
(단, 시원 테이블 에 사원코드, 이름, 부서의 열이 있다고 가정한다.)
부서가 인사, 사원코드가 3000이하인 사원의 사원코드에 1000을 더하라.
① UPDATE 사원코드 SET 사원코드+ 1000 WHERE 부서="인 사" OR 사원코드<=3000:
② UPDATE 사원 SET 사원코드=사원코드+ 1000 WHERE 부서 ="인사" OR 사원코드<=3000;
③ UPDATE 사원코드 SET 사원코드+ 1000 WHERE 부서="인 사" AND 사원코드<=3000;
④ UPDATE 사원 SET 사원코드=사원코드+ 1000 WHERE 부서 ="인사" AND 사원코드<=3000;
55.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지역 자치성이 높다.② 잠재적 오류가 감소한다.
③ 분산 제어가 가능하다.
④ 효용성과 융통성이 높다.
56. 다음 문장의 () 안 내용으로 공통 적용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내용은 무엇인가?
"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한 릴레이션의 ( )는 참조되는 릴레이션의 기본 키와 대응되어 릴레이션간에 참조 관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. ( )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이 되고, 대응되는 기본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 릴레이션이 된다."
① 후보키(Candidate Key)
② 대체키(Alternate Key)
③ 외래키(Foreign Key)
④ 수퍼키(Super Key)
57. 다음 중 트리거(Trigger)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데이터 변경 및 무결성 유지, 로그 메시지 출력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.② 트리거의 생성문에는 반드시 값을 반환하는 RETURN 명령어 가 사용되어야 한다.
③ 데이터의 삽입, 갱신,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이다.
④ CREATE TRIGGER 명령어를 통해 생성된다.
58.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?
ㄱ. 실시간 접근성
ㄴ. 계속적인 변화
ㄷ. 동시 공용
ㄹ. 내용에 의한 참조
① ㄱ
② ㄴ, ㄷ
③ ㄱ, ㄷ, ㄹ
④ ㄱ, ㄴ, ㄷ, ㄹ
59. DBMS의 필수 기능 중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은?
① Definition 기능
② Control 기능
③ Manipulation 기능
④ Strategy 기능
60. 뷰(View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뷰는 CREATE 문을 사용하여 정의한다.
② 뷰는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한다.
③ 뷰를 제거할 때에는 DROP 문을 사용한다.④ 뷰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한다.
2024년 3회
41. 참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DROP문에서 부모 테이블의 항목 값을 삭제할 경우 자동적으로 자식 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기 위한 옵션은?
① CLUSTER
② CASCADE
③ SET-NULL
④ RESTRICTED
42. 뷰(View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뷰는 CREATE 문을 사용하여 정의한다.
② 뷰는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한다.
③ 뷰를 제거할 때에는 DROP 문을 사용한다.④ 뷰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한다.
43. DML에 해당하는 SQL 명령으로만 나열된 것은?
① DELETE, UPDATE, CREATE, ALTER
② INSERT, DELETE, UPDATE, DROP
③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
④ SELECT, INSERT, DELETE, ALTER
44. 다음과 같이 위쪽 릴레이션을 아래쪽 릴레이션으로 정규화를 하였을 때 어떤 정규화 작업을 한 것인가?
① 제1정규형
② 제2정규형
③ 제3정규형
④ 제4정규형
45. 관계 데이터 모델의 무결성 제약 중 기본키 값의 속성 값이 널(Nul) 값이 아닌 원자 값을 갖는 성질은?
① 개체 무결성
② 참조 무결성
③ 도메인 무결성
④ 튜플의 유일성
46.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?
① 논리적 데이터 구조② 출력 구조
③ 연산
④ 제약 조건
47. DBA가 사용자 PARK에게 테이블 [STUDENT]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시스템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SQL문을 작성하고자 한다.
다음에 주어진 SQL문의 빈칸을 알맞게 채운 것은?
SQL > GRANT ㉮ ㉯ STUDENT TO PARK;
① ㉮ INSERT, ㉯ INTO
② ㉮ ALTER, ㉯ TO
③ ㉮ UPDATE, ㉯ ON
④ ㉮ REPLACE, ㉯ IN
48. 데이터베이스에 영향을 주는 생성, 읽기, 갱신, 삭제 연산으로 프로세스와 테이블 간에 매트릭스를 만들어서 트랜잭션을 분석하는 것은?
① CASE 분석
② 일치 분석
③ CRUD 분석
④ 연관성 분석
49.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키마(Schema)는?
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정의한 것으로 데이터 개체, 관계, 제약조건, 접근권한, 무결성 규칙 등을 명세한 것
① 개념 스키마
② 내부 스키마
③ 외부 스키마
④ 내용 스키마
50. 조건을 만족하는 릴레이션의 수평적 부분집합으로 구성하며, 연산자 의 기호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(o)를 사용하는 관계대수 연산은?
① Select
② Project
③ Join
④ Division
51.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,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, 접근 경로 설계와 관계되는 것은?
① 논리적 설계
② 요구 조건 분석
③ 개념적 설계
④ 물리적 설계
52.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모든 속성 값은 원자 값을 갖는다.
②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하다.
③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.④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 사이에는 순서가 존재한다.
53. 트랜잭션의 실행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연산자로, 트랜잭션이 수행한 결과를 원래의 상태로 원상 복귀 시키는 연산은?
① COMMIT 연산
② BACKUP 연산
③ LOG 연산
④ ROLLBACK 연산
54. 릴레이션 R의 차수가 4이고 카디널리티가 5이며, 릴레이션 S의 차수가 6이고 카디널리티가 7일 때, 두 개의 릴레이션을 카티션 프로덕트한 결과의 새로운 릴레이션의 차수와 카디널리티는 얼마인가?
① 24, 35
② 24, 12
③ 10, 35
④ 10, 12
55.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①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단계 이전에 수행한다.
②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.
③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, 삭제, 갱신 이상의 발생을 방지한다.
④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줄인다.
56.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하는 것은?
① 트랜잭션
② 뷰
③ 튜플
④ 카디널리티
57. 테이블 두 개를 조인하여 뷰 V_1을 정의하고, V_1을 이용하여 뷰 V_2를 정의하였다. 다음 명령 수행 후 결과로 옳은 것은?
DROP VIEW V_1 CASCADE:
① V_1만 삭제된다.
② V_2만 삭제된다.
③ V_1과 V_2 모두 삭제된다.
④ V_1과 V 2 모두 삭제되지 않는다.
58. SQL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① REVOKE 키워드를 사용하여 열 이름을 다시 부여할 수 있다.
② 데이터 정의어는 기본 테이블, 뷰 테이블, 또는 인덱스 등을 생성, 변경,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.
③ DISTINCT를 활용하여 중복 값을 제거할 수 있다.
④ JOIN을 통해 여러 테이블의 레코드를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 다.
59.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키를 의미하는 것은?
① 필드키
② 슈퍼키
③ 외래키
④ 후보키
60. 데이터 사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시스템 카탈로그 또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라고도 한다.② 데이터 사전 역시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므로 일반 사용자가 생성, 유지 및 수정할 수 있다.
③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인 메타데이터(Metadata)를 저장 하고 있다.
④ 데이터 사전에 있는 데이터에 실제로 접근하는 데 필요한 위치 정보는 데이터 디렉토리(Data Directory)라는 곳에서 관리한 다.
'자격증시험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기출 - 5.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(0) | 2025.02.28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기출 - 4.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(0) | 2025.02.28 |
정보처리기사 기출 - 2. 소프트웨어 개발 (0) | 2025.02.27 |
정보처리기사 기출 - 1. 소프트웨어 설계 (0) | 2025.02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