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공부 (32)
wa_ter_ve

✅ 방법: 로컬 전체 초기화 후 다시 커밋깃에 파일들을 업로드 한 게 기록이 다 남는 게 지저분해서 깔끔하게 다시 올리고 싶을 때(이전 커밋 다 날리고 새로운 히스토리 생성) 1️⃣ Git 기록 초기화 $ rm -rf .git2️⃣ 다시 Git 초기화 $ git init3️⃣ 원격 레포 연결 $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~~4️⃣ 파일 추가 및 커밋 $ git add . $ 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5️⃣ 강제 푸시 (이전 기록 삭제) $ git push -f origin main

📌 카카오맵 API 불러오기리액트 카카오맵 패키지 설치$ npm install react-kakao-maps-sd public > index.html카카오 api 스크립트 추가 다운 받은 패키지 import 코드 추가jsx에서 사용법// MainMap.jsximport { Map, MapMarker } from "react-kakao-maps-sdk";// Mainpage.jsximport MainMap from "../components/MainMap";...... 🔐 YOUR_APP_KEY 부분 ← 카카오 개발자 콘솔에서 발급 받은 JavaScript 키로 변경https://developers.kakao.com/카카오 계정 로그인내 어플리케이션 추가 → 생성한 앱 상단에 앱 키 탭 클릭 → Jav..

📌Tailwind CSS 기본 문법 정리 기본 레이아웃 클래스flex : Flexbox 컨테이너화items-center : 세로축 중앙 정렬justify-center : 가로축 중앙 정렬min-h-screen : 높이를 화면 전체(100vh)로 설정w-full : 너비 100%max-w-md : 최대 너비 제한 (md = 28rem = 448px)mx-auto : 좌우 마진을 auto로 → 가운데 정렬할 때 자주 사용p-10 : padding 2.5rem (40px)🧱Margin (바깥 여백)m : 네 방향 모두 마진mt, mb, ml, mr : 위, 아래, 왼쪽, 오른쪽 마진mx : 좌우 마진my : 상하 마진mt-0margin-top: 0pxmt-2margin-top: 0.5rem (8px)mb-..

🔍 프로젝트 개요프로젝트명: 만원 미만 맛집 추천 서비스개발 기간: 2025.03.24 ~ 2025.06.23역할: FE사용 기술: React (Vite), Tailwind CSS, react-router-dom, Axios, react-kakao-maps-sdk📌 리액트 바이트 프로젝트 생성$ npm create vite@latest capstonepj --template react→ react → javascipt 옵션 선택 🤔 css 선택 기준 기준 Tailwind CSS Styled Components 빠른 UI 구현✅ 매우 빠름❌ 클래스 관리 필요반응형 디자인✅ 간편 (sm, md, lg 등)❌ 미디어쿼리 직접 작성동적 스타일링❌ 클래스 조합이 필요✅ props로 쉽게 조절 가능스타..

수업 때 배웠던 거 기록용📌 1,2주차뒤로가기(undo) 횟수 늘리기customize → preference → ‘secene undo level’ 200~300 [Alt] + [마우스 휠 버튼] => 화면 회전(하나의 view 클릭된 상태로) + [Alt] + [W] => 시점 확대 [단축키 p] perspective view – 입체감O [단축키 u] orthographic view(user view) - 입체감X (초보자 용이) * 화면 맨 오른쪽 창 = command panel (six panels) * (1) top view (0,0,0) 부근에서 그리기 📌 3주차 2D Spline : 1. 열린 패스, 닫힌 패스 – 곡선(클릭 드래그) – 마우스 우클릭(끊기) 2. 익스트루드(E..

☑️ 공부하면서 내용 추가할 예정 화면 하단의 Frame 클릭 → 원하는 모양의 기본 디자인 툴 선택 후 시작 📌 텍스트 조절 단축키 Font size 크기: ctrl + shift + Font weight 굵기: ctrl + alt + Line height 행간: alt + shift + Letter spacing 자간: alt +

📌 세션 & 쿠키 (Session & Cookies) 🔍 세션(Session): 서버가 일정시간 동안의 사용자 요청을 하나의 상태로 보고, 해당 상태를 유지 및 추적하는 방식. (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된 상태 → 세션)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로 각 클라이언트 식별이 불가하기에,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용도로 session ID를 사용.특징- 각 클라이언트에 고유 ID를 부여해, 서버가 ID를 통해 클라이언트를 구분할 수 있도록 도움.-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저장하여, 각 요청들의 세션 정보를 유지.- 서버 메모리에 세션을 저장하므로 서버 용량에 영향을 받음. 사용자 증가시 메모리 사용량 증가.- 세션은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보안성 높음.- 세션 I..